신간도서
하단바
  • 간도서
  • 크게보기
  • 사회복지정책론
    저자
    이평화,노영애,양준의,임현수,노수희,김홍록
    ISBN
    979-11-6328-628-8 (93330)
    정가
    26,000 원
    페이지
    46배변형판 / 2도 / 432쪽 / 무선
    발행일
    2025-02-10
    강의용자료

정책이라는 어의에서 오는 난해함은 학습자 모두가 공감할 것이다. 더구나 저복지국가의 사회복지정책을 다뤄야 하는 입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혹자는 80년 신군부의 영국병에 관한 망령을 아직도 신봉하여 복지는 마치 퍼주는 것이라는 인식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복지를 생산적 복지라는 용어로 변명에 급급했던 정권도 있었고, 사회안전망이라고 정의하던 시절도 있었다.

 

복지는 한 시대의 유행도 아니고, 특정 정권의 전유물은 더욱 아니다. 이제 복지는 일상생활에 젖어 든 하나의 제도이다. 복지는 피할 수 없는 분야이고, 이를 학습해야 함은 오늘을 사는 이에게 부여된 숙명과도 같다. 그만큼 복지는 주변화 되었고, 이를 실천해야 하는 사회복지정책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복지정책의 가장 핵심 주제는 대상, 급여, 그리고 전달체계이다. , 사회복지정책은 수급자(who)를 선정하여 어떻게(how) 급여(what)를 전달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사회복지정책의 입안자는 대상 선정과정, 급여의 예산과 실행, 효과적인 전달체계에 관해 항상 고민해야 한다.

 

<개요>

사회복지정책 형성과 집행, 분석과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사회복지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가치와 관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정책의 내용과 발전방안을 분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분석적ㆍ개입적 역량과 비판적ㆍ관계적 역량을 배양한다.

 

<학습목표>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원칙, 유형과 원리 이해

2. 사회복지정책의 주요 가치, 철학, 이념, 사상, 역사 학습

3.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분석틀, 평가방법 학습

4. 사회복지정책의 입안과정, 실천 및 전달체계에 대한 토의

5. 사회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분석 및 대안 탐색